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필라테스 스토리16

체형 사진을 통한 골반의 불균형 체크1 목차 무명골 정의 무명골의 움직임 무명골에 따른 비구의 이동 비구 이동에 따른 대퇴골의 영향체형 사진으로 알아본 골반의 불균형  무명골 정의무명골(無名骨, Linea aspera)은 대퇴골(넓적다리뼈) 후면에 위치한 길고 거친 능선이다. 대퇴골 몸통 중앙에서 시작하여 하방으로 진행하면서 내측과 외측으로 갈라지는 형태를 띤다. 무명골은 여러 근육과 인대의 부착 지점으로 기능하며, 대퇴근육군의 힘이 대퇴골에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돕는다. 특히 대퇴이두근, 내전근군(대내전근, 장내전근 등), 가쪽넓은근 등이 이곳에 부착되어 다리의 움직임과 안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무명골은 골다공증이나 골절 등의 병리적 상태에서 주목되는 해부학적 부위 중 하나다. X-ray 및 MRI 촬영 시 대퇴골의 구조.. 필라테스 스토리 2025. 1. 29.
척추 전방 전위증 1. 척추전방전위증하나의 척추가 인접하는 밑의 척추에 비해 정상적인 정렬을 이루지 못하고 앞으로 빠져있는 상태.  2.원인 1)협부의 문제로 인해 척추 분리증: 주로 성장기 때 지속적 스트레스로 발생2) 퇴행성 디스크: 나이가 들면서 디스크 손상으로 척추의 불안정성이 높아지면서 발생 3. 운동1)피해야 할 운동흔히 요추를 제자리로 돌리기 위해 척추 굴곡의 동작을 시키게 되는데 척추의 신전 자세에서 척추의 안정성이 더 높아지는 것을 볼 수 있다.  2) 진행해야 할 운동-견갑골 강화 신전 운동-비복근,가자미,후경골근 운동: 까치발 들기-데드버그-플랭크 필라테스 스토리 2025. 1. 28.
[골격학] 요추-흉골복장뼈 1. 요추1). 시상면의 움직임에 안정성을 가장 먼저 확보해야 한다. (왜? 우리의 보행패턴이 시상면의 패턴이므로)2). 요추의 커브가 없다고 해서 커브를 허리힘으로 만들려고 하기보다 제자리에 갖다 놓으면 된다. (ex.플랫백 체형에서 요추 커브를 힘으로 만들려고 하기 보다 복부를 써서 허리를 밀며 운동을 하려고 할때 그 힘을 막아주는 방향성으로 가야한다)3) 디스크 4-5번 디스크: 골반을 말아 앉을 가능성 높음(플랫백)5-6번 디스크: 고관절의 움직임이 좋지 않거나 요추 2-3의 움직이 좋지 않아 5-6번을 과사용할 확율이 높음(스웨이백) 2. secrum *체형을 볼때 secrum을 어떻게 세우고 있나, 어떻게 움직이고 있나도 봐야 한다.1)고관절이 굴곡돼 있는 케이스 - 립이 열리게 된다. - 기.. 필라테스 스토리 2025. 1. 28.
[골격학] 두개골~ 흉추 모든 움직임의 중심은 중추골격이 돼야 한다. 중추골격을 어떻게 사용하는지 어떻게 컨트롤하는지를 봐야한다. 만약, 팔을 들려는데 어깨 관절(부속골격)의 제한으로 갈비를 들어 팔을 올린다면 중추골격의 안정성이 무너진 것. 즉, 중추골격의 안정화 상태에서 부속골격의 자유로운 움직임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1. 두개골​1) 두개골이 목뼈에서 굴러가는 감각을 인지해야 한다. ​- HOW? 관자놀이를 검지에 대고 마치 꼬챙이가 꽂혀있다 상상하며 그 꼬챙이를 중심으로 머리를 굴려보기?후두하근에 손가락을 짚어 이 부위로 두개골을 컨트롤해야 한다는 것 인지 시키기?수건을 머리 뒤에 놓고 손으로 수건을 당겨 인지?밴드를 정수리 쪽으로 길게 빼 당기며 인지 ​* 후두하근의 근막은 눈과 연결 > 시선 처리 중요 인.. 필라테스 스토리 2025. 1. 20.
골반 회전 불균형 /원인/ 운동/ 천장관절증후군 1. 골반은 왜 회전이 발생하는가?몸의 중앙에 위치한 골반은 틀어지기 굉장히 쉬운 구조를 가지고 있다. 가장 많이 알고있는 유형으로는 앞,뒤로 기울어진 전방경사,후방경사가 있으며 그 외 회전의 형태로 무너질 수도 있다. 전/후방경사는 몸의 무게중심을 앞이나 뒤로 기대면서 축이 무너지면서 골반이 따라 기울어졌다면, 회전은 왜 발생할까? 바로 하체의 회전으로 인해 골반이 정면을 바라보기 위해 회전이 발생하는 것이다. 그림을 보며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하체가 왼쪽으로 회전을 하고있다. 다리 위에 있는 골반이 다리를 따라 왼쪽으로 돌게되면 사람의 몸은 계속 왼쪽으로 빙그르 돌것이다. 따라서 몸이 돌지않기 위해 골반이 다리와 반대와 반대방향으로 오른쪽으로 회전을 발생하며 보상작용을 하게 되는 것이다.  2. 골.. 필라테스 스토리 2025. 1. 16.
체형 사진으로 골반의 불균형 알아보기 앞서 설명을 하기 전 체형 사진을 찍는 법을 모른다면 아래 버튼 클릭하기! 체형사진 찍는 법 바로가기->!* 한 눈에 알아보기 쉽게 하기 위해 그림을 극단적으로 그렸다...(^^)1. 중앙선과 가까운 쪽의 다리로 몸을 지탱할 확률이 높다> 먼쪽 다리의 안정성 키우기 2. 올라간 쪽의 골반은 신전, 내려간 쪽의 골반은 굴곡 패턴을 띄고 있을 확률이 높다. > 올라간 쪽은 굴곡 패턴, 내려간 쪽은 신전 패턴의 움직임 만들어주기3. 만약 앞모습에서 골반은 좌측이 올라갔는데 뒷모습에서 무릎은 좌측이 더 내려간 느낌이라면 그만큼 좌측 무릎을 뒤로 뺀 신전 상태4. 좌우 옆모습에서 왼측면 사진의 왼쪽 다리가 중앙선을 기준으로 더 뒤로 빠진 느낌 : 왼 고관절이 더 신전된 상태 : 바닥을 왼다리로 더 지지할 확률 높.. 필라테스 스토리 2025. 1. 13.
무게 중심 이동에 따른 체형 변화 1. 케이스1 ( 골반과 상체의 앞쏠림 )무게 중심이 앞으로 쏠리면서 골반과 상체가 함께 앞으로 기울어져서 전방 경사의 형태를 띔 -> 기울어진 골반은 그대로 놔둔 상태로 척추쪽의 보상 작용을 통해 무게 중심을 맞추며 보상작용. 어디를 어떻게 보상작용을 진행하느냐에 따라 아래와 같은 유형으로 체형의 변화가 생김. 흉추를 위로 세우며 보상작용한 체형 알아보기->흉추를 뒤로 보내며 보상작용한 체형 알아보기-> 2.케이스2 (상체의 앞쏠림 >백니로 보상작용)골반은 그대로 있는 상태에서 상체의 무게 중심이 앞으로 빠진 형태. 그에따라 앞으로 쏠린 무게 중심을 맞추기 위해 다리를 더 뒤로 빼는 보상작용(백니)을 통해 무게 중심을 맞춘 체형.  3. 케이스3(상체의 뒤쏠림> 하체 보상) 골반은 그대로 있는 상태에서.. 필라테스 스토리 2025. 1. 12.
골반 교정의 시작? 1. 고관절을 둘러싼 요소들1) 관절낭 : 고관절은 윤활 관절로 관절낭 관절주머니에 둘러싸여 윤활액으로 채워져 있다. 관절운동을 한 방향으로만 지속되게 쓰여지면 반대방향에서는 관절낭이 과도하게 신장. 이는 근육까지 신장시킨다. 2) 고관절 인대 * 인대는 비닐봉지 성격을 띄므로 한 번 늘어나면 제자리로 돌릴 수 없다. 고관절의 최대 신전 시 3개의 인대들은 동시 신장되어 수동장력(수동적으로 발생시키는 힘) 발생. > 고관절의 앞쪽 안정을 담당. 3)고관절 안정근고관절의 앞쪽 안정근 : 장골근, 치골근.고관절의 뒤쪽 안정근 : 외회전근 4) 고관절 근육들대둔근, 대퇴사두근, 햄스트링, 요근.  관절낭>인대>근육의 형태로 둘러쌓여 있으며,체형의 불근형은 단순 근육의 불근형 때문이 아니다. 근육은 자연스럽게 .. 필라테스 스토리 2025. 1. 12.
스웨이백 체형의 골반 방향에 대한 관점 지난 게시물에서(*)스웨이백 체형 유형 중 앞으로 밀어버린 골반으로 인한 무게중심을 바로 잡기위해 골반을 바로 세우며 보상작용을 한 케이스와 흉추를 세우며 보상작용을 한 케이스로 나눴다. 이 글에선 각각의 케이스에서 골반이 어떤 형태를 띄고 있는지 좀 더 자세히 다뤄보겠다.  *스웨이백 관련 게시물은 아래 클릭을 통해 확인해 볼 수 있다. 2025.01.04 - [분류 전체보기] - 스웨이백의 유형/특징/체형 사진 구분/운동 방향성 스웨이백의 유형/특징/체형 사진 구분/운동 방향성스웨이백 ?골반이 앞으로 이동해서 신체의 중심이 앞으로 쏠리게 되면서 중심을 잡기 위해 신체의 다른 부분들이 변형되는 것. ​1. 스웨이백의 특징스웨이백은 크게 두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goguma100.com 1. 스웨이백인데 .. 필라테스 스토리 2025. 1. 5.
스웨이백의 유형/특징/체형 사진 구분/운동 방향성 스웨이백 ?골반이 앞으로 이동해서 신체의 중심이 앞으로 쏠리게 되면서 중심을 잡기 위해 신체의 다른 부분들이 변형되는 것. ​1. 스웨이백의 특징스웨이백은 크게 두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골반을 앞쪽으로 미는 형태는 동일하나 1)고관절이 신전 돼 있는 형태와 2)골반까지 같이 앞으로 기울어진 두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으며 각 형태에 따라 보상 작용이 일어나는 방향이 다른다.  1) 고관절이 신전된 유형 :전형적인 스웨이백 체형골반을 앞으로 미는 과정에서 고관절이 신전되며 무게 추를 뒤로 보내 중심을 맞춘 상태(하복부 단축)서 다시 뒤로 빠지는 무게 중심을 위쪽 등을 구부려(상복부 수축) 체중심을 맞춘 체형 -치골이 앞으로 튀어나왔다-복근 전체가 강하다 -신전 동작에서 복부를 늘리는 게 아니라 고관.. 필라테스 스토리 2025. 1. 4.
밀리터리 체형 특징/ 구분 방법/ 운동 방향성 1. 밀리터리 체형 특징-군인 발레리나에게 많이 나타나는 유형 -가장 흔한 케이스-1자목이 잘 나오며 목디스크가 많음. -흉추 커브가 없으나 요추의 커브가 심하거나 유지 -운동시 긴장이 목에 많이 들어감.-어깨를 뒤로 젖히며 흉추를 펴는 힘을 사용하여 어좁이처럼 보이는 경우가 많다. 1)골반이 전방경사되면서 다리가 앞으로 굴곡. ​- 고관절 굴곡근 타이트 > 앞벅지 발달 체형 많음(햄스트링은 늘어남)- 골반 전방경사로 둔근 있어보이나 잘 사용하지 못함. 둔근 대신 허리힘을 사용 - 발가락으로 서있는 경우가 많음> 백니 유발 ​2)가슴이 위로 향한다. ​- 복직근이 늘어남 - 가슴을 들면서 날개뼈가 모이고 립케이지가 들림 > 등,허리 근육 타이트 & 전거근 약화  2. 사진으로 체형 구분​ 1) 머리 윗등.. 필라테스 스토리 2025. 1. 3.
flat back,플랫백,편평등/동적 정적 특징/ 구분/운동 방향 2024.12.27 - [필라테스 스토리] - 체형 평가를 위한 사진 찍는 법/ 사진 평가/보상작용 1. 플랫백의 특징  -상체는 밀리터리(*)/하체는 스웨이백 체형의 특징을 가진다. -일자 척추-흉추를 지나치게 세움으로  인한 척추의 무너짐. -흉추 기립근의 과상요과 단축.-후방으로 기울어진 천골로 인한 요추의 후만과 뒤로 밀림. -요추기립근의 강제 신장으로 인한 햄스트링의 위치적 단축.-하복부 근육의 위치상 단축과 과사용-갈비우리를 세움으로 인한 상부 등근육의 단축과 발린스 무너짐 : 목, 어깨 통증 유발 -천골이 뒤로 기울어짐으로 인한 골반저근의 위치상 단축과 과사용 -치골이 말려 올라가 서 있을 때 y존 치골이 도드라진다. -허리 /목 디스크 가능성 있다.  *밀리터리 체형 특징/구분 방법/운동 .. 필라테스 스토리 2025. 1. 3.
kyphosis-lordosis 후만-전만 체형 1. kyphosis-lordosis /카이포- 로도시스/ 후만-전만 체형의 특징1) 정적 특징 - 경추 흉추 요추 모두 과국곡에 해당하는 척추의 형태 : 고개는 앞으로 밀려 나오고 라운드 숄더 골반은 전방 경사를 유도한다. - 가슴 아래는 military와 비슷한 체형 : 고관절 타이트- 흉추의 커브가 과하여 상부 복직근 타이트해진 상태 - 요추의 커브 과하여 하부복직근 늘어나있는 상태 2) 동적 특징- 복부를 쓸 때 복근 대신 고관절 굴곡의 힘을 사용한다. - 상체 힘은 가슴 앞의 힘, 하체 힘은 허리& 고관절 굴곡근을 사용할 확률이 높아진다. - 일상의 움직임에서 요추 기립근에 긴장이 있다.  2. 사진(*)을 통해 카이포 로도시스 체형 구분 방법 1) 백라인 중 엉덩이가 박스에 가장 먼저 닿아있다.. 필라테스 스토리 2024. 12. 30.
백니는 무조건 골반 전방경사? 흔히 백니 발생의 원인을 골반 전방경사로 인한 고관절 굴국으로 바로 연결하는 경우가 있는데 그렇지 않은 경우들도 굉장히 많다.본론에 들어가기 전에 알아두어야 할 기본적인 것들을 짚어보자면? *백니란 ??무릎이 지나치게 신전된 상태로써 전발슬, 반장슬, 뒤로 휜 다리라고도 불린다.** 체중심 ??말 그대로 신체의 중심! 중력을 가장 안정적으로  받을 수 있는 위치에 있을 때 그 중심을 연결한 것이 중심선, plum line. 우리가 스웨이백, 밀리터리 체형 등 자세를 나누는 기준도 결국, 신체의 어느 부분이 어떻게 중심선에서 벗어났느냐를 놓고 판단을 하게 된다.  *** 자세가 무너지기 쉬운 이유?바르게 앉고, 바르게 서고, 바르게 걷는다면 체형이 무너질 이유가 없다. 그치만 우리의 신체는 발을 제외한 위.. 필라테스 스토리 2024. 12. 29.
필라테스 운동을 하는데 왜 목이 아플까? 필라테스 운동을 진행하면서 목이 아플 때 체크해보면 좋을 두가지에 대해 이야기 해보겠다.  1. 내 머리가 제자리에 위치해 있는가? 여기서 말하는 제자리가 어디인지를 체크해보는 게 중요하다. 제자리란 지난 게시물(체형 사진 찍는 법) 에 말했던 플럼라인 안에 머리가 잘 놓여있어야 한다. 2024.12.27 - [필라테스 스토리] - 체형 평가를 위한 사진 찍는 법/ 사진 평가/보상작용위 사진에서 보여지듯이 머리가 플럼라인 안에 잘 놓여져 있기 위해선 그 아래에 해당하는 몸통이 제자리에 잘 놓여져 있어야 한다. 두번째 그림처럼 몸통이 앞으로 나가있는 상황에선 그 위에 놓여져있는 머리가 제자리에 잘 있을 수가 없다.  이미 그림에서 설명해주고 있듯이 머리의 위치는 '결과값'에 해당한다. 원인에 해당하는 몸통.. 필라테스 스토리 2024. 12. 28.
체형 평가를 위한 사진 찍는 법/ 사진 평가/보상작용 * 필라테스에서 PT진행 시 첫수업날 진행하는 체형 평가를 위한 사진 찍는 법(공부한 내용을 토대로 정리한 개인의 방법임을 주의)   1. 사진을 찍을 때 기본 원칙 - 늘 같은 위치에서 찍는다. (사진 찍히는 사람 /찍는 사람 둘 다 )- 배꼽과 가슴 사이 정도의 위치에서 찍는다. - 가볍게 제자리 걸음을 걷다가 자연스럽게 멈춘 상태를 찍는다. 2. 찍는 사진의 종류 정면 /후면/ 좌 / 우 / 스쿼트 (좌,우) /원레그 박스 스텝 (정면에서 다리 좌우) = 총 8면 -정면 /후면/ 좌 / 우는 정적인 형태에서 바디의 방향이 어떻게 향하고 있는지 체크  -스쿼트와 박스 스텝은 동적인 형태에서 바디의 방향 체크  + 고관절/무릎/발목 하체 관절을 사용할 때 상체를 어떻게 사용하고 있는지 체크  + 상하체.. 필라테스 스토리 2024. 12. 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