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필수 용어 총정리

namooyeo 2025. 3. 14.
반응형

재테크 초보 용어 보러가기

 

인플레이션 & 디플레이션

🚀 물가 변화에 따른 경제 용어

인플레이션 (Inflation) 물가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현상
디플레이션 (Deflation) 물가가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현상
리플레이션 (Reflation) 경기 부양을 위해 일부러 물가를 올리는 정책
슬럼플레이션 (Slumpflation) 경기 침체 + 물가 상승이 함께 발생하는 현상
하이퍼인플레이션 (Hyperinflation) 통제 불가능한 극단적 물가 상승 (예: 짐바브웨, 베네수엘라)

📌 인플레이션이 심하면? → 실질 구매력 감소, 생활비 상승
📌 디플레이션이 심하면? → 기업 이익 감소, 실업률 증가

💡 "적당한 인플레이션이 경제 성장에는 필수!"

스태그플레이션

🚀 경기 침체 + 물가 상승이 동시에 발생하는 최악의 상황!

스태그(Stagnation) 경기 침체 (경제 성장 둔화)
인플레이션 (Inflation) 물가 상승
고용 감소 기업 투자 위축 → 실업률 증가

📌 왜 위험한가?
경기가 안 좋은데도 물가가 올라 생활고 심화
기업이 투자하지 않고, 소비도 줄어들어 경제 악순환
1970년대 오일쇼크 때 미국이 경험한 경제 위기와 유사

💡 "스태그플레이션을 막으려면? → 금리 정책 조정 + 생산성 향상이 필수!"

경제 성장 관련 용어

GDP (국내총생산) 한 나라에서 일정 기간 동안 생산한 모든 재화와 서비스의 총합
GNP (국민총생산) 한 나라의 국민이 국내외에서 생산한 재화와 서비스의 총합
PPP (구매력평가) 각 나라의 물가 수준을 반영한 GDP 비교 방식
잠재성장률 물가 상승 없이 최대로 성장할 수 있는 경제 성장률
경기 사이클 경제가 호황과 불황을 반복하는 과정 (호황 → 둔화 → 침체 → 회복)

📌 "GDP가 높아도 국민이 잘사는 건 아니야! 실질 소득도 고려해야 해!"

경기 변동&경제 지표

 

경기 과열 경제가 너무 빠르게 성장해 인플레이션이 심해지는 상태
경기 침체 (Recession) 경제 성장률이 둔화되거나 마이너스 성장하는 상태
불황 (Depression) 경기 침체가 장기화된 상태
경기 선행지표 경제 변화를 미리 예측할 수 있는 지표 (예: 소비자 심리지수)
경기 동행지표 현재 경기 상황을 나타내는 지표 (예: 산업생산지수)
경기 후행지표 경기 변화 이후에 반응하는 지표 (예: 실업률)

📌 "경기 선행지표를 보면 경제 흐름을 예측할 수 있다!"

금융& 통화정책

기준금리 중앙은행이 시중 은행에 적용하는 이자율
통화정책 정부가 돈의 흐름을 조절하는 정책 (금리 조정, 국채 발행 등)
양적완화 (QE) 중앙은행이 직접 돈을 풀어 경제를 활성화하는 정책
테이퍼링 (Tapering) 양적완화를 점진적으로 축소하는 과정
금융완화 금리를 낮춰 경제를 활성화하는 정책
금융긴축 금리를 높여 물가 상승을 억제하는 정책

📌 "금리를 내리면 대출이 늘고, 금리를 올리면 물가가 잡힌다!"

부동산 & 대출 관련 용어

LTV (주택담보대출비율) 집값 대비 대출 가능한 금액의 비율
DTI (총부채상환비율) 연소득 대비 대출 원리금 부담 비율
DSR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모든 대출의 원리금 부담 비율
전세가율 매매가 대비 전세보증금 비율
갭투자 전세를 끼고 적은 돈으로 집을 사는 투자 방식

📌 "대출 규제가 강화되면 부동산 시장이 얼어붙을 수 있다!"

주식 & 투자 관련 용어

PER (주가수익비율) 주가가 기업 이익의 몇 배인지 나타내는 지표
PBR (주가순자산비율) 주가가 기업 자산 대비 몇 배인지 나타내는 지표
ROE (자기자본이익률) 기업이 자기자본을 활용해 얼마나 수익을 냈는지
ETF (상장지수펀드) 여러 주식을 묶어놓은 투자 상품 (지수 추종)
배당금 기업이 이익을 주주에게 나눠주는 돈

📌 "PER, PBR, ROE는 주식 투자할 때 꼭 봐야 할 지표!"

원자재& 외환 관련 용어

원자재 시장 금, 은, 원유 같은 기초 자원의 거래 시장
환율 (Exchange Rate) 자국 통화와 외국 통화의 교환 비율
달러 강세 달러 가치 상승 → 원자재 가격 하락 & 신흥국 경제 악화
달러 약세 달러 가치 하락 → 원자재 가격 상승 & 신흥국 경제 활성화
금 본위제 화폐 가치를 금 보유량에 따라 결정하는 시스템

📌 "달러 강세일 때는 해외여행이 저렴해지고, 수출 기업은 불리해진다!"

 

반응형

댓글